파일 속성의 호환성탭에서 호환모드를 설정해 주는건 다 아시죠?!

호환성 값을 저장하는 레지스트리 경로를 알아봅시다.

 

 

호환성 모드를 변경했을경우 값이 해당 레지스트리 경로에 저장됩니다.

HKEY_CURRENT_USER\Software\Microsoft\Windows NT\CurrentVersion\AppCompatFlags\Layers

 

참고로, 데이터 부분의 'WINXPSP3' 은 속성창에서 호환모드를 'Windows XP(서비스팩3)' 로 설정했다는 의미입니다.

 

'시스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[ADODB]  (0) 2013.09.30
오류 (-5006 : 0x80070002)  (0) 2013.09.17
System.ComponentModel.Win32Exception  (0) 2013.08.30
Posted by G4.
,

 

<오류>

 

System.IO.FileNotFoundException: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'ADODB, Version=8.0.0.0, Culture=neutral, PublicKeyToken=b03f5f7f11d50a3a' or one of its dependencies. 지정된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.

 

 

 

<원인>

C:\Windows\assembly 폴더에 ADODB가 전역캐시로 등록이 안되어있어서 오류가 발생합니다.

 

 

<해결>

gacutil.exe    ← 닷넷 전역 어셈블리 캐시 유틸리티

ADODB.dll     ← 등록 DLL 파일

1. 해당 파일들을 다운받고 커맨드창 실행

2. 다운 받은 파일이 있는 주소로 이동

   예) C드라이브 TEST폴더에 파일이 있다면 커맨드창에 cd C:\TEST 입력

3. gacutil -i adodb.dll 입력

4. Assembly successfully added to the cache 출력되면 성공

5. C:\Windows\assembly 폴더에 ADODB가 등록

 

 

'시스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호환성 모드의 레지스트리 경로  (0) 2015.05.07
오류 (-5006 : 0x80070002)  (0) 2013.09.17
System.ComponentModel.Win32Exception  (0) 2013.08.30
Posted by G4.
,

 

<오류>

프로그램 설치시에 해당 오류가 발생했습니다.

 

 오류 (-5006 : 0x80070002)가 설치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했습니다.

 이전 설치를 완료한 후 응용프로그램을 종료했는지 확인하십시오.
 오류가 여전히 발생할 경우, 판매업체에 문의하십시오.

 

 

<해결방법>

윈도우 업데이트 받으니 프로그램 설치 정상작동 됬습니다.

해당 컴퓨터의 경우 서비스팩1을 받았습니다.

 

'시스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호환성 모드의 레지스트리 경로  (0) 2015.05.07
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[ADODB]  (0) 2013.09.30
System.ComponentModel.Win32Exception  (0) 2013.08.30
Posted by G4.
,

 

특정 프로그램 실행시에 실행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.

디버그뷰(DebugView)를 이용해서 확인결과 아래 메세지들이 뜹니다.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[2600] System.ComponentModel.Win32Exception: 창 클래스 이름이 잘못되었습니다.
[2600]    위치: System.Windows.Forms.NativeWindow.WindowClass.RegisterClass()
[2600]    위치: System.Windows.Forms.NativeWindow.WindowClass.Create(String className, Int32 classStyle)
[2600]    위치: System.Windows.Forms.NativeWindow.CreateHandle(CreateParams cp)
[2600]    위치: System.Windows.Forms.Control.CreateHandle()
[2600]    위치: System.Windows.Forms.Control.CreateControl(Boolean fIgnoreVisible)
[2600]    위치: System.Windows.Forms.Control.CreateControl()
[2600]    위치: System.Windows.Forms.Control.OnVisibleChanged(EventArgs e)
[2600]    위치: System.Windows.Forms.Label.OnVisibleChanged(EventArgs e)
[2600]    위치: System.Windows.Forms.Control.OnParentVisibleChanged(EventArgs e)
[2600]    위치: System.Windows.Forms.Control.OnVisibleChanged(EventArgs e)
[2600]    위치: System.Windows.Forms.ScrollableControl.OnVisibleChanged(EventArgs e)
[2600]    위치: System.Windows.Forms.Form.OnVisibleChanged(EventArgs e)
[2600]    위치: System.Windows.Forms.Control.SetVisibleCore(Boolean value)
[2600]    위치: System.Windows.Forms.Form.SetVisibleCore(Boolean value)
[2600]    위치: System.Windows.Forms.Control.Show()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구글을 열심히 뒤져보니 해당 오류에 대한 정확한 답을 찾지 못했습니다.

추측 또는 의심되는 부분들이 있지만 답은 원인불명...

 

저같은 경우에는 알약으로 정밀검사 후에 재부팅하니까 해결이 됬습니다. (정말 운좋은 케이스)

몇 가지 해결법을 제시하자면 이정도가 있겠네요.

 

* 바이러스 검사

* .Net FrameWork 재설치

* Windows Update

 

'시스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호환성 모드의 레지스트리 경로  (0) 2015.05.07
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[ADODB]  (0) 2013.09.30
오류 (-5006 : 0x80070002)  (0) 2013.09.17
Posted by G4.
,